본문 바로가기
320x100

따라 공부하기/Spring boot 혼자 개발하는 웹 서비스15

[Spring Boot]롬복(lombok) 설치와 테스트 이 글은 이 책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오늘은 롬복을 설치해 보았다. 롬복은 자바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로, Getter 와 Setter의 자동 생성, 기본생성자, toString등등을 자동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 먼저 build.gradle의 의존성 부분에 롬복을 추가해준다. 그리고 Refresh 버튼을 누르면 라이브러리가 다운받아진다. 그리고 Ctrl + Shift + A를 눌러 Actions 검색 창을 띄운 뒤, plugins를 검색한다. 롬복(lombok)을 찾아서 설치해준다. 따로 인텔리제이를 재시작 할 필요는 없었다. 설치가 끝나면 우측 하단에 이런 팝업이 뜨는데, Enable을 눌러 이 프로젝트에서 롬복이 사용가능하게 설정한다. 이제 롬복 설치와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 2020. 12. 21.
[Spring Boot]스프링부트에서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이 글은 이 책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오늘은 Spring Boot에서 테스트 코드 작성하는법을 배웠다. 요즘 뜨는 회사중 하나에서는 코딩 테스트에서 알고리즘이 아닌 단위 테스트를 조건으로 두고 있다고 한다. 또한 정말 실력있는 프로그래머가 되려면 코드 테스트는 필수이다. 내가 읽은 부분에서는 TDD의 첫 단계인 단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법이 나와있었다. 단위 테스트의 이점으로는, 개발단계 초기에 문제를 발견하도록 도와주고, 나중에 코드를 바꾸었을 때, 기존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테스트 코드의 작성을 도와주는 테스트 프레임워크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xUnit이라고 한다. Java에서는 JUnit, 데이터베이스에서는 DBUnit C++에서는 CppUnit.. 이.. 2020. 12. 20.
[Spring Boot]intelliJ에서 build.gradle 파일 수정하기 이 글은 이 책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Spring Boot를 사용하기 전에 Gradle Project를 Spring Boot Project로 바꾸기 위해 build.gradle을 수정해야 한다. 먼저 intelliJ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Gradle에서 Java가 체크된 것을 확인 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프로젝트명과 GroupId, ArtifactId 등을 작성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그레이들 기반의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이제 build.gradle을 수정할 것이다. 원래 스프링 부트에 필요한 설정들을 추가할 때, 스프링 이니셜라이저 라는 편리한 도구가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이것을 사용하게 되면, 코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지 못한 채로 개발을 하기 때문에, 나중에 익숙해지면 사용한다.. 2020.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