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PS84 [CLASS 2]백준 2869번, 15829번, 1259번, 2839번, 11050번 2869번 :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문제가 엄청 쉬워 보이는데 정답률이 26퍼다? 이건 무조건 함정이 있거나 많은 사람이 간과하는 무엇이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문제를 처음 보고 든 생각으로 그냥 코드를 짰다면 이런 코드가 나왔을 것이다. a,b,v = map(int,input().split()) day = 0 while True: day += 1 v -= a if v =0: if b%3 == 0: c = b//3 break a -= 1 b += 5 if b%3 == 0: print(a+c) else: print(-1) 사실 내가 작성한 코드는 이중 for 문이 있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가 커서 그리 좋지는 않다. 그래서 그냥 five 를 5KG 봉지의 개수로 두되, 남은 KG 를 따로 변수로 둔 뒤.. 2021. 1. 18. [CLASS 2]백준 2798번 - 블랙잭 2798번 : 블랙잭 본래 블랙잭은 21을 최대한 가깝게 맞추는 것이 목적이지만, 이 문제에선 M 과 가장 비슷한 수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내 코드: cardNum, target = map(int,input().split()) cards = list(map(int,input().split())) sortedCards = [i for i in cards if i 2021. 1. 18. [CLASS 2]백준 2231번, 2292번, 2775번 2231번 : 분해합 간단하다. N을 받고, 1부터 N-1까지 자릿수를 모두 더해 보면서 만약 N 과 일치한다면 바로 출력하고 종료하면 된다. 내 코드: n = int(input()) answer = 0 for i in range(n): h = sum([int(i) for i in str(i)]) + i if(h==n): answer = i break print(answer) 브루트 포스법. 즉 전수 조사이다. 그냥 하면 된다. 2292번 : 벌집 처음 보고 띠용? 하고 가만히 있었는데, 풀고 나니 그렇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었다. 육각형의 각 껍질에서의 가장 마지막 수를 얻을 수 있는 수열을 만들고 적용하면 된다. 그래서 처음엔 이렇게 제출했다. 내 코드(오답): def f(n): return 6*((n.. 2021. 1. 16. [CLASS 2]백준 1085번, 4153번, 10250번 1085번 : 직사각형에서 탈출 처음에 조건을 똑바로 안 읽고 이런 코드를 작성했었다. 내 코드(오답): import math def pointDistance(x1,y1,x2,y2): return math.sqrt((x1-x2)**2 + (y1-y2)**2) arr = input().split() x = int(arr[0]) y = int(arr[1]) w = int(arr[2]) h = int(arr[3]) if((0 2021. 1. 15. 이전 1 ··· 18 19 20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