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Projects38 EC2에 프로젝트 파일 배포 먼저 프로젝트에 깃 설치 프로젝트를 넣을 폴더도 생성해주고.. 깃허브에서 클론도 진행해준다. 테스트는 없지만 일단 해보니 성공 ㅋㅋㅋㅋ 배포를 위한 스크립트 파일도 작성 실행해주면..? 이렇게 빌드는 다행스럽게도 성공적으로 되었다. 이제 nohup파일을 확인해본다. 보면 MySQL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아서 실행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먼저 RDS에 테이블을 추가해준다. 그리고 의존성에 마리아DB용 드라이버도 등록 RDS환경 전용 properties파일 추가, 그리고 RDS 전용 OAuth 설정 파일 만들고... 실행 한 뒤 로그파일 보면 gitignore 때문에 git에 올라가지 않았던 application-oauth.properties때문에 오류가 난 듯 하다 이를 복사해서 해당 경로에 만들어준다... 2021. 2. 5. RDS설정과 EC2에서 접속하기 먼저 RDS콘솔에 접속 MySQL기반의 MariaDB를 사용해 준다. 기본적인 설정만 해주고 다른건 모르니 섣불리 건들지 않는다. DB생성 뒤 파라미터 그룹도 생성해주고, 타임존 설정도 해준 뒤, 해당 파라미터 그룹을 인스턴스에 등록해준다. 그리고 RDS에 보안 그룹 인바운드 규칙에 내 컴과 EC2 그룹 ID를 복붙한다. 이렇게 하면 EC2에서 RDS에 접근할 수 있다. 이제 엔드포인트 확인하고 인텔리제이를 켜서 DB로 접근해본다. MariaDB는 MySQL기반이므로 MySQL선택 접속 성공! 이렇게 처음에는 만들어놓은 데이터베이스 빼고 아무것도 없다. 먼저 캐릭터셋을 잘 바꿨는지 확인한다. 몇가지가 latin으로 되어 있어서 utf8로 변경. 이제 EC2에서도 RDS에 접근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SS.. 2021. 2. 3. AWS에 배포하기 위해 인스턴스 만들고 설정하기 먼저 AWS를 가입하면 나오는 페이지. 먼저 리전은 서울로 바꿔준다. 이제 EC2를 들어가보면 계정을 바로 만들자마자 들어가려 하면 이렇게 된다. 좀 기다려야 한다. 기다리고 EC2 콘솔에 들어가보면 이런 대시보드가 보인다. 여기서 인스턴스 시작을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 저번에 책으로 하나 만들때는 AMI 1을 사용했었는데 이번엔 그냥 2로 사용했다. 무료로 사용가능한 t2.macro선택. 30GB 까지는 무료로 사용가능하니 꽉 채워준다. 이름 태그도 추가 보안 그룹은 콘솔에서 접속하기 위해 22와 기본 포트 8080을 열어둔다. 펌키도 만들어 다운로드 해주고 인스턴스를 시작한다. 터미널을 통해 외부 SSH로 접속을 할떄 매번 긴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기 위해 ssh파일로 펌키를 옮겨놓는다. 이렇게 .. 2021. 2. 2. 전체적인 레이아웃 개선 전체적인 레이아웃의 개선이 있었다. 기존의 페이지의 모습이 너무 흉측했기 때문에 일단 나름대로 개선해보았다. BEFORE AFTER 솔직히 훨씬 보기 좋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좀 그렇긴 하다. 그래도 이정도면 나름 만족한다. 이제 배포를 해보려 한다. AWS EC2를 사용해 배포할 것이다. 배포하면 아마 또 엄청난 오류들과 마주치게 될 것이다. 열심히 해야지.. 2021. 2. 1.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