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20x100

Blog189

Query방식에서 Sequelize ORM으로 전환 기존에는 db-query.js 파일 내에서 직접 SQL쿼리를 통해 정보를 가져오고 수정하였다. var db = require('./db-connect') var useCrypto = require('./crypto'); var getList = function(amount,type,page,callback){ // 전체 글 조회 if (type=='all'){ db.query('SELECT COUNT(*) AS COUNT FROM POST',function(err,count){ if (err) console.log('에러 발생 : ' + err); else{ count = count[0].COUNT; var maxPage = Math.ceil(count / amount); db.query('SELECT .. 2021. 5. 12.
[CLASS 4]백준 2096번 - 내려가기 2096번 : 내려가기 이전에 비슷한 DP문제를 풀어본적이 있어서 드물게 빠르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 풀고나서 알았는데 이런 문제를 슬라이딩 윈도우 라고 부르나보다. 다만 주의할 점은 메모리 제한이 4MB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100만 길이의 리스트를 만들면 십중팔구 메모리 초과에 걸릴 것이다. 따라서 그냥 한줄씩 입력받으면서 DP를 수행하면 된다. 내 코드: # dawitblog.tistory.com/154 from sys import stdin input = stdin.readline n = int(input()) a,b,c = map(int,input().split()) current_max = [a,b,c] current_min = [a,b,c] for _ in range(n-1): a,b,c .. 2021. 5. 10.
[CLASS 4]백준 1967번 - 트리의 지름 1967번 : 트리의 지름 이 문제를 풀기 위한 핵심 아이디어만 알았다면 쉽게 풀 수 있다. 문제에 힌트가 나와 있는데, 트리의 지름의 양 끝에 해당하는 두 노드를 선택해서 양쪽으로 당기면 나머지 노드들은 해당 원 안에 들어가게 된다고 나와 있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힌트는, 트리 내의 임의의 노드에서 가장 먼 노드를 구하면, 해당 노드는 무조건 지름의 양 끝 중 하나라는 것이다. 이를 몰랐다면 풀기 매우 힘든 문제가 될 수 있다.(나처럼...) 이를 눈치챘다면 쉽게 풀 수 있다. 내 코드: # dawitblog.tistory.com/153 from sys import stdin,setrecursionlimit input = stdin.readline # 재귀깊이 설정 setrecursionlimit(.. 2021. 5. 8.
[CLASS 4]백준 1918번 - 후위 표기식 1918번 - 후위 표기식 단순하지만 머리어픈 그런 문제이다. 후위 표기식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면 설명은 그냥 읽지 않아도 된다. 그냥 중위 표기식을 후위 표기식으로 바꾸는 문제이다. 표기식 문제가 나오면 스택을 사용한다는 것은 알고 있어야 한다. 스택을 사용하여 풀 수 있으니 재귀로도 풀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했는데 빠른 시간 내에 풀어냈다면 정말 머리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딱히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괄호와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이용해서 말 그대로 적절하게 전환하면 된다. 내 코드: # dawitblog.tistory.com/152 stack,ans = [],[] # 우선순위 정의 priority = { '*':0, '/':0, '+'.. 2021.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