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20x100

Blog189

[Spring Boot]수정,조회 API 제작과 JPA Auditing 적용하기 이 글은 이 책을 기준으로 쓰여졌습니다. 오늘은 글 수정,조회 API를 구축하고, JPA Auditing을 적용하여 글을 언제 만들었고 수정되었는지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했다. 먼저 컨트롤러에 update 메서드와 글 조회를 위한 findById 메서드를 만들어 준다. 응답용 Dto 클래스도 작성. 별 내용은 없다 글 수정시 수정할 글 정보를 담고 있는 Dto 이다. title과 content를 필드로 가지고 있다. Posts 클래스에도 글 수정을 위한 update 메서드를 만들어 준다. PostsService에서 눈여겨 볼 것이 있다면, 쿼리를 날리는 부분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JPA의 영속성 컨텍스트 라는 특성 때문이라고 한다. JPA의 엔티티 매니저가 활성화된 상태로 트랜잭션 안에서 DB에.. 2020. 12. 24.
[Spring Boot]Spring의 웹 계층과 등록 API 만들기 이 글은 이 책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Spring에서의 웹 계층 Web Layer : 컨트롤러와 JSP/Freemaker 등의 뷰 템플릿이고, 외부 요청과 응답에 대한 전반적인 영역 Service Layer : 서비스 영역. Controller와 Dao의 중간 영역이며, @Transactional 이 사용되는 영역. Repository Layer : DB에 직접 접근하는 영역. Persistence Layer이고, Service와 DB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함. DAO 라고도 부름. DTO(Data Transfer Object) : 계층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객체. 예로 뷰 템플릿 엔진에서 사용될 객체나 Repository Layer에서 결과로 넘겨준 객체 웹 계층들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이곳.. 2020. 12. 23.
[Spring Boot]JPA 적용과 테스트 코드 작성 이 글은 이 책을 참고하여 쓰여졌습니다. 오늘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JPA를 적용하고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보았다. 먼저 jpa와 h2 의존성을 추가해 준다. h2는 인메모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따로 설치가 필요 없을뿐더러 메모리 상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테스트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 package com.david.book.springboot.domain.posts; import lombok.Builder;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import javax.persistence.*; @Getter @NoArgsConstructor @Entity public class Posts { @I.. 2020. 12. 22.
[Spring Boot]롬복(lombok) 설치와 테스트 이 글은 이 책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오늘은 롬복을 설치해 보았다. 롬복은 자바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로, Getter 와 Setter의 자동 생성, 기본생성자, toString등등을 자동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 먼저 build.gradle의 의존성 부분에 롬복을 추가해준다. 그리고 Refresh 버튼을 누르면 라이브러리가 다운받아진다. 그리고 Ctrl + Shift + A를 눌러 Actions 검색 창을 띄운 뒤, plugins를 검색한다. 롬복(lombok)을 찾아서 설치해준다. 따로 인텔리제이를 재시작 할 필요는 없었다. 설치가 끝나면 우측 하단에 이런 팝업이 뜨는데, Enable을 눌러 이 프로젝트에서 롬복이 사용가능하게 설정한다. 이제 롬복 설치와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 2020. 12. 21.